악한 사람이 벌을 받거나, 좋든 나쁘든 어떤 일에 대한 합당한 결과를 얻을 때 흔히 '뿌린 대로 거둔다'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쓰는 뿌린 대로 거둔다 뜻 및 뿌린 대로 거둔다 사자성어 11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뿌린 대로 거둔다 뜻
뿌린 대로 거둔다는 의미는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는다'는 뜻입니다. 좋은 곡식을 뿌리면 좋은 열매를 거두게 될 것입니다. 콩을 뿌리면 콩이 날 것이고, 팥을 뿌리면 팥이 자라겠지요.
더 확장시켜 생각해보면 본인이 악행을 저지르면 그에 합당한 벌을 받는 것이고,
선행을 했다면 칭찬받는 것입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이 불합리와 불평등과 싸워왔습니다. 그래서 저 말은 뿌린 대로 거두지 못하는 세상이기 때문에 좀 더 정의로워지길 바라는 사람들의 염원과 바람이 담긴 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뿌린 대로 거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을 꼽을 수 있을까요?
2. 뿌린 대로 거둔다 사자성어
1) 자업자득
자업자득이란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음'의 뜻을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자업자득은 뿌린 대로 거둔다를 의미하는 가장 적절한 사자성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① 자업자득 한자
자업자득(自業自得)의 한자는 각각 自(스스로 자), 業(업 업), 自(스스로 자), 得(얻을 득)을 씁니다.
② 자업자득 상황
한 달에 실수령으로 200만 원을 받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데 무리해서 외제차를 샀습니다. 매달 나가야 하는 자동차 할부 값과 차량 유지비가 거의 월급과 맞먹었습니다. 결국 생활비가 부족해진 그는 카드 돌려 막기를 시작하고 엄청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럴 때 '자업자득'이라는 사자성어를 쓸 수 있습니다.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결국 자기가 받게 되는 것이지요.
2) 인과응보
인과응보란 '원인과 결과에는 반드시 그에 합당한 이유가 있음'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좀 더 설명하자면 인과응보는 본래는 불교 용어입니다. 불교에는 윤회사상이 있지요.
윤회란 죽고 나서 끝이 아니라, 죽음 이후에 다시 태어 나게 된다는 사상인데요. 인과응보란 다시 태어날 때는 과거 그 사람이 어떤 선악을 쌓았는지에 따라 행복할지 불행할지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래는 이런 의미이지만 지금은 '자업자득'처럼 비슷하게 사용을 합니다.
① 인과응보 한자
인과응보(因果應報)의 한자는 각각 因(인할 인), 果(열매 과), 應(응할 응), 報(갚을 보)를 씁니다.
② 인과응보 상황
어떤 범죄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다행히 10년 간 사람을 살인하고도 죗값을 받지 않고 평범한 사람들처럼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어느 날 TV 시사 프로그램에서 해당 살인 사건에 대한 취재를 시작하였고 모두가 다 잊은 줄 알았던 그 사건은 서서히 수면 위로 드러나게 됩니다. 그리고 결정적인 목격자를 찾게 되고 그것을 시작으로 그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게 됩니다. 이런 경우 '인과응보'라는 말을 쓸 수 있을 것입니다.
3. 비슷한 사자성어
1) 자업자박(自業自縛)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음.
2) 자작자수(自作自受)
자기가 저지른 죄로 자기가 그 악과를 받음.
3) 자작지얼(自作之孼)
자기가 저지른 일 때문에 생긴 재앙.
4) 종과득과(種瓜得瓜)
오이를 심으면 반드시 오이가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
5) 종두득두(種豆得豆)
콩을 심으면 반드시 콩이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
6)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출이반이(出爾反爾)
너에게서 나와서 너에게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행불행과 좋은 일 나쁜 일이 결국은 모두 자기 자신에 의하여 초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결자해지(結者解之)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9) 사필귀정(事必歸正)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