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엄청나게 큰 성과를 이루었을 때 장족의 발전이란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데요. 정확히 장족이란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장족의 발전 뜻과 장족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장족이란
장족은 기다랗게 생긴 다리를 의미하며, 사물의 발전이나 진행이 매우 빠름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흔히 '장족의' 꼴로 자주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지요.
< 장족의 한자 >
장족(長足)의 한자는 각각 長(길 장), 足(발 족)을 씁니다. 한자 그대로 직역하면 기다란 다리 정도로 해석이 가능한데요.
걸음을 걷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매우 작거나 짧은 다리로 걷는 것보다는 크고 긴 다리로 걸으면 훨씬 남보다 성큼성큼 멀리 갈 수 있을 것입니다. 커다란 걸음으로 걸으면 당연히 남들보다 발전이나 진행이 빠르겠지요.
2. 장족의 발전 의미
즉, 장족의 발전은 엄청난 발전과 비슷한 말로 크게 발전한 경우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커다란 발로 성큼성큼 걸어서 발전하면 작은 보폭으로 걷는 것보다 훨씬 많이 빠르게 걸을 것이고 그만큼 더 멀리 가게 될 것입니다.
장족은 '장족의'뿐만 아니라 '장족으로' 꼴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예) 그의 프로그래밍 실력은 장족으로 진보했다.
(예) 우리 회사의 매출은 장족으로 증가했다.
3. 장족 예시
한 문과생이 있습니다. 문과생으로 취업의 문턱이 너무 높아서 진로를 변경하기 위해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처음 수업을 듣는데 아무것도 이해가 되질 않았습니다. 본인이 평소에 알고 있던 덧셈 뺄셈 등과 같은 연산을 하는데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등의 개념을 납득하기가 어려웠지요.
그는 어렵지만 매일 같이 프로그래밍 책에 있는 예제를 그대로 따라 쳐 보았습니다. 그렇게 책의 내용을 3번 정도 따라 쳤을 때 그는 서서히 이해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요즘 어려워지고 있는 대기업의 프로그래밍 코딩 테스트까지 당당히 합격하여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 프로그래밍의 '프' 자도 모르던 문과생이 단기간에 코딩 테스트를 합격하였다면 엄청나게 큰 발전을 이룬 것이라 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장족의 발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장족 예문
- 그는 멕시코 현지에서 일하면서 스페인어 실력으로 장족으로 늘었다.
- 가수 출신인 그는 연기력이 장족으로 발전했다.
- 우리 집에서 공부로 가장 골칫거리였던 막내가 장족의 발전으로 인서울 대학에 합격하였다.
- 남들이 보기에 평범한 성적이지만 지난해에 비하여 장족의 발전이다.
5. 장족 비슷한 말
① 거족 (巨足)
큰 발걸음이라는 뜻으로, 진보나 발전의 속도나 정도가 뚜렷하게 빠름을 이르는 말.
② 일취월장 (日就月將)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함.
마무리
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하용하지만 정확한 의미는 알지 못했던 '장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다랗게 생긴 다리라는 의미로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에 '장족의 발전'이란 형태로 자주 사용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