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주식 투자 성공이야기는 한동안 큰 [ 화제거리 / 화젯거리 ]가 되었다. 여기서 '화제거리'가 맞는 표현일까요? 아니면 '화젯거리'가 맞는 표현일까요? 오늘은 화제거리 화젯거리 중 올바른 맞춤법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결론부터 말하면 '화젯거리'가 바른 표현입니다.
- 그의 주식 투자 성공이야기는 한동안 큰 화젯거리가 되었다.
화젯거리(O) / 화제거리(X)
'이야깃거리가 될 만한 소재'라는 뜻의 표준어는 '화젯거리'라고 해야 맞습니다. '화제거리(X)'는 화젯거리의 잘못으로 받침 ㅅ이 추가로 들어가야 합니다.
(예) 연예계 스타들의 소식은 늘 화젯거리가 된다(O)
(예) 연예계 스타들의 소식은 늘 화제거리가 된다(X)
2.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
- '화젯거리'가 사이시옷 현상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인데요.
조건 1) 우리말이 포함된 합성어
[ 화젯거리 -> 화제 + 거리 ]
화제(話題) : 한자어
거리 : 우리말
'-거리'는 의존명사로 '내용이 될 만한 재료'를 뜻하는 우리말입니다.
* 화제 + 거리는 우리말 '거리'가 포함된 합성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건 2) 발음 조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이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ㅁ'앞에서 'ㄴ'소리가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이 덧나야 한다.
그럼 화젯거리의 발음을 살펴볼까요?
화젯거리의 발음은 [화제꺼리] 또는 [화젣꺼리]로 납니다.
뒷말인 '거리'의 발음이 [꺼리]이고, [꺼리]의 첫소리가 [꺼]로 ㄲ이라는 된소리로 나고 있습니다.
* 화젯거리의 발음은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로 나므로 발음 조건 역시 만족합니다.
결론) 우리말이 포함된 합성어 + 발음 조건 만족
-> 사이시옷 첨가!!
우리말이 포함된 합성어이고, 발음 조건도 만족하기 때문에 합성어로 만들 때 'ㅅ'이 추가로 들어가야 하는 것입니다.
3. 화젯거리 예문
- 톱스타 김 씨의 이혼이 장안의 화젯거리가 되고 있다.
- 요즘 우리는 재밌는 화젯거리를 찾고 있다.
- 그의 5억이 넘는 슈퍼카가 화젯거리로 떠올랐다.
- 나의 늦은 결혼이 친구들 사이에서 한동안 화젯거리가 됐다.
- 영수는 화젯거리가 많아서 술자리에서 인기가 많다.
4. 화젯거리 발음
- [화제꺼리] / [화젣꺼리]
TIP. 알아두면 좋은 상식
마무리
오늘은 표준어 화젯거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우리말 포함 합성어이자 된소리가 나서 사이시옷 현상이 적용되는 단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ㅅ)이 들어간다는 점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