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벌써 대학에 합격이라도 한 것처럼 [오두방정 / 오도방정]을 떨었다. 여기서 '오두방정'이 맞을까요? 아니면 '오도방정'이 맞을까요? 오늘은 오두방정 오도방정 중 올바른 맞춤법 표현을 살펴보겠습니다.
오두방정 vs 오도방정
1. 결론적으로 '오두방정'이 맞습니다.
- 그는 벌써 대학에 합격이라도 한 것처럼 오두방정을 떨었다.
오두방정(O) / 오도방정(X)
'오도방정(X)'은 오두방정의 잘못으로 비표준어입니다. '몹시 방정맞은 행동'이란 뜻의 표준어는 '오두방정'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ㅗ'가 아니라 'ㅜ'입니다. 오두방정!
2. 오두방정 뜻
오두방정의 뜻은 '몹시 방정맞은 행동'인데요.
여기서 '방정맞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 방정맞다 뜻 >
방정맞다의 품사는 형용사로 방정맞다 뜻은 '말이나 행동이 찬찬하지 못하고 몹시 까불어서 가볍고 점잖지 못하다'입니다.
[ 오두방정 = 몹시 방정맞은 행동 ]
[ 방정맞다 = 말이나 행동이 찬찬하지 못하고 몹시 까불어서 가볍고 점잖지 못하다 ]
즉, 오두방정의 의미는 차분하지 못하고 몹시 까불어서 점잖지 못하다는 의미입니다.
3. 오두방정 한자
- 없음
오두방정은 우리말로 오두방정의 한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4. 오두방정 유래
- 공식적인 것은 없음
* 오도깝스럽다
경망하게 덤비는 태도가 있다.
* 오도깨비
괴상한 잡것이나 또는 온갖 잡귀신을 낮잡아 이르는 말.
여기에서 '오도'가 나왔고 '방정맞다'의 방정이 만나 오도방정, 그리고 지금의 오두방정이 되었다는 설이 있는데요.
참고로 국립국어원의 온라인가나다에서는 그 오두방정의 어원이나 유래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다고 답변한 바 있습니다.
5. 오두방정 예문
- 오두방정 좀 떨지마라.
- 우리 집 강아지는 집에 손님이 오면 오두방정을 떨며 반긴다.
- 오두방정을 떨다
- 먹을 것을 보자 아이는 오두방정을 떨었다.
- 장례식장에서 왜 오두방정이야!
- 그는 신이 나는지 오두방정을 떨며 춤까지 췄다.
TIP. 알아두면 좋은 상식
마무리
오늘은 표준어 오두방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