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소설에서 한 시대를 풍미한 인물에 대한 묘사를 한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풍미하다의 뜻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풍미하다 뜻 및 시대를 풍미하다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풍미하다 뜻 

풍미하다란 어떤 사회적 현상이나 사조 따위가 널리 사회에 퍼지다는 뜻으로 바람에 초목이 쓰러진다는 뜻에서 나온 말입니다. 

 

< 풍미하다 한자 >

풍미(風靡)의 한자는 각각 風(바람 풍), 靡(쓰러질 미)를 씁니다. 즉 바람에 쓰러졌다는 의미인데요. <사기> 회음후전(淮陰侯傳)에서 풀과 나무가 바람이 부는 기세로 인해 쓰러졌다는 데서 유래합니다. 

 

바람이 얼마나 세고 넓게 불어야 주변의 풀과 나무가 쓰러졌을까요? 그만큼 어떤 사회적 현상이나 시조 따위가 널리 사회에 퍼질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쉽게 사회에 큰 영향력이 끼칠 정도로 대단했다고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2.  시대를 풍미하다 의미 

 

주로 풍미하다는 시대를 풍미하다 혹은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인물이다 이런 식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 풍미하다

= 어떤 사회적 현상이나 사조 따위가 널리 사회에 퍼지다

 

쉽게 누군가가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인물이라는 것은 그 사람이 가진 모습이나 특징, 성향, 그리고 영향력이 매우 커서 사회에 널리 퍼졌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문화대통령이라 불린 서태지와 아이들

 

과거에 문화대통령으로 불렸던 서태지와 아이들도 그랬지요. 서태지와 아이들은 단순히 당시 10대들의 우상을 넘어선 문화의 대통령으로까지 불리게 됩니다.

 

지금 10대나 20대는 서태지를 잘 모르겠지만 저희 때는 서태지의 컴백홈(Come back home)이라는 노래가 발매되자 가출청소년이 집으로 돌아왔다는 기사가 나오기까지 했습니다. 

 

노래를 발매했을 뿐인데 가족도 경찰도 친구도 하지 못했던 일을 해냈으니까요. 이 정도면 정말 한 시대의 아이콘으로서 그 당시 시대를 풍미했다고 봐도 과언은 아니라고 봅니다. 

 

 

4.  풍미하다 예문 

 

(예) 그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인물로 재계와 정계에 끼친 영향이 매우 컸다. 

 

(예) 낭만주의 사조가 유럽 전역을 풍미했다. 

 

(예) 당대를 풍미했던 금발 미녀가 있었다. 

 

(예) 사회를 풍미하다. 

 

(예) 그 노래는 시대를 풍미한 가수의 마지막 곡이다. 

 

(예) 그 산은 한 시대를 풍미한 명산이었다. 

 

(예) 그 전시회는 당대를 풍미한 시인과 화가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자리다. 

 

 

 

5.  풍미하다 다른 뜻

- 풍만하고 아름답다. 

 

풍미(豐美)하다는 동음이의어로 풍만하고 아름답다는 뜻의 형용사도 존재하니 참고 바랍니다. 

 

TIP.  알아두면 좋은 상식

석고대죄 뜻, 유래 무엇일까

 

마무리

오늘은 어떤 사회 현상이나 사상 등이 사회에 널리 퍼진다는 의미의 풍미하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