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시 뜻 및 유래

단어풀이 / / 2022. 3. 2. 23:19
728x90

소설, 만화 등 콘텐츠에서 종종 효시라는 단어를 볼 수 있는데요. 정확히 효시 뜻은 무엇일까요? 대충 시작이라는 의미 같긴 한데 말입니다. 오늘은 정확한 효시 뜻 및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효시 뜻 

효시란 '우는 화살'이라는 뜻으로, 예전에 전쟁 때에 쓰던 화살의 한 종류를 가리킵니다. 끝에 속이 빈 깍지를 달아 붙인 것으로, 쏘면 공기에 부딪혀 소리가 나는데요. 

 

효시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시작되어 나온 맨 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쉽게 말하면 효시는 '시초', '처음'인 것이지요. 

 

< 효시 한자 >

효시(嚆矢)의 한자는 각각 嚆(울릴 효), 矢(화살 시)를 씁니다. 한자 그대로 직역하면 우는 화살 정도가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는 화살이란 뜻의 효시는 일의 시초나 시작, 처음을 알리는 말이 되었을까요? 

 

 

2.  효시 유래 

도가를 대표하는 인물로는 노자와 장자가 있지요. 

 

제자 '최구'가 어느 날 스승 노자에게 이런 질문을 합니다. 

'천하를 다스리지 않으면 어떻게 사람들의 마음이 좋아질까요?' 

 

노자는 답을 합니다. 

'음, 자네 아무 까닭 없이 사람의 마음을 묶지 않도록 하게.

 

사람의 마음이란

억누르면 가라앉고 치켜 올리면 올라간다네.

 

그런데 마음이 오르고 내리다 보면 쇠잔해지게 마련이지.

 

 

부드러움으로 강한 것을 유연하게 하고

날카로운 것으로는 파서 상처를 내지.

그리고 뜨거워지면 불처럼 타오르고

차가워지면 얼음처럼 굳는다네.'

 

사람의 마음을 묶는 것은 바로 유가에서 말하는 도덕규범인 인의 같은 것입니다. 그런 것으로 구속을 한다는 의미이지요. 노장사상이 유가를 비판하면서 나왔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다면 이해가 가는 대목일 겁니다. 

 

노자는 인과 예 같은 '도덕' 같은 것으로 사람을 강제로 다스리는 게 아니라 

그냥 놔두면 자연스럽게 흘러간다고 말을 하지요. 

 

그리고 장자 역시 이렇게 말합니다. 

 

 

 

'톱 같은 것으로 처형하여 사람을 억누르고 오랏줄과 같은 법으로 사람을 죽인다.

 

그래서 세상은 더욱 혼란해졌다.

 

결국 그 죄란 것은 사람의 마음을 인의로 묶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어진 사람은 높은 산과 바위 사이에 숨어 살고

대국의 군주는 웅장한 건물에서 두려워하고 있다.

 

지금 세상은 처형된 자가 베개를 함께 베고

칼을 쓴 자가 너무 많아 서로 밀치고

형벌로 죽은 자가 저 멀리까지 보인다.

 

유가나 무가는 이렇게 되자 기세가 등등해진 것이다.

 

 

그들은 반성을 모르고 부끄러움을 깨닫지 못하는구나.

성인이나 지혜가 칼과 차꼬를 죄는 쐐기가 되지 않은 예를 알지 못한다. 

흔히 인의라는 것이 수갑과 차꼬를 더욱 단단히 하는 형구가 되지 않은 예를 알지 못한다. 

 

효도로 유명한 증삼과 강직한 사추가 폭군 걸왕과 가장 큰 도둑인 척의 효시가 아니란 것을 누가 알겠는가? 

 

그러므로 성인을 멀리하고 지혜를 버리면 천하는 다스려지게 되어 있다. 

 

바로 여기에서 '효시'라는 말이 유래했다고 합니다. 본래 효시는 우는 화살로 전쟁의 시작을 알릴 때 사용하던 것이었는데요.

 

효시는 본래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수단이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문학 작품에서 사물의 맨 처음, 시초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3.  효시 출전 

- 「장자」의 <재유편(在宥篇)>

 

 

4.  효시 예문 

 

- 사라예보에서 울린 두 발의 총성은 제1차 세계대전의 효시가 되었다. 

 

- 홍길동전은 우리나라 국문 소설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 진주에서 시작된 형평운동은 근대 인권운동의 효시라고 볼 수 있다. 

 

- 그 영화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효시이다. 

 

 

 

마무리

오늘은 효시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본래 전쟁의 시작을 알리던 소리 나는 화살에서 현대에는 문학 작품에서 시초, 시작과 같은 말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