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친구가 넘어지는 것을 보고 깜짝 [ 놀랐다 / 놀랬다 ]. 여기서 놀라다 놀래다 중 뭐가 맞는 표현일까요? 오늘은 일상에서 헷갈리는 놀라다 놀래다 차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결론적으로 '놀랐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 친구가 넘어지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문장에서 주어인 내가 '뜻밖의 일이나 무서움에 가슴이 두근거리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려면 '놀라다'라고 해야 맞습니다. '놀래다'는 놀라다의 사동사로 뜻밖의 일을 해 남을 무섭게 하거나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다라는 의미입니다. 

 

더 쉽게 말하면 내가 직접 놀란 상태가 되면 '놀라다'를 쓰고, 내가 누군가를 놀라게 만드는 것은 '놀래다'입니다. 

 

 

2.  놀라다 놀래다 구별 퀴즈

 

①  나는 그녀를 [ 놀랐다 / 놀랬다 ]

- 놀랬다

 

놀라다는 문장의 주체가 놀라는 것입니다. 반대로 여기는 놀라게 만드는 대상이 있지요. 나 아닌 다른 사람을 놀라게 만드는 것은 '놀래다'를 씁니다. 

 

 

② 나는 그 얘기를 듣고 무척 [놀랐다 / 놀랬다].

- 놀랐다

 

여기서는 문장의 주체인 내가 놀라는 것이므로 '놀라다'가 맞고 '놀랐다'로 활용이 되는 겁니다. 

 

 

 

3.  놀래다 vs 놀래키다

- 놀래다 (O) 

- 놀래키다 (X) 

 

누군가를 놀라게 만드는 것은 '놀래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일상에서 '나는 그녀를 놀래켰다' 이런 식으로 '놀래키다'를 사용하는 것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놀래키다는 '놀래다'의 충청도 방언으로 표준어가 아닙니다. 

 

(예) 그녀를 깜짝 놀래 주자 (O)

(예) 그녀를 깜짝 놀래켜 주자 (X) 

 

 

 

4.  놀라다 예문 

 

① 뜻밖의 일이나 무서움에 가슴이 두근거리다.

 

- 아버지의 고함 소리에 놀랐다. 

- 엄마가 갑자기 방문을 열어서 놀랐다. 

- 그는 칼을 든 강도를 보고 놀라서 할 말을 잃었다. 

 

 

② 뛰어나거나 신기한 것을 보고 매우 감동하다.

 

- 그의 성공 스토리에 놀랐다.

- 피라미드의 규모에 관광객들은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 선생은 문제를 해결하는 어린 학생의 지혜에 놀랄 뿐이었다.

 

 

③ 어처구니가 없거나 기가 막히다.

 

- 미국에서 7년을 살았는데도 영어를 못한다는 사실에 놀랐다.

- 당돌함에 놀라다.

- 친구가 예약한 숙소가 너무 허름해서 놀랐다.

 

 

④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말과 함께) 평소와 다르게 심한 반응을 보이다.

 

- 창자가 놀라다.

- 너무 많이 먹어서 위가 놀랬다.

 

 

 

마무리

오늘은 놀라다와 놀라다의 사동사 '놀래다', 그리고 충청도 방언인 '놀래키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놀래키다는 방언이고, 놀라다는 주어가 '놀라는 것'이라는 점과 놀래다는 누군가를 놀라게 만드는 것으로 쓰임새의 차이가 있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