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그는 툭하면 지각하기 [ 일쑤였다 / 일수였다 ]. 여기서 '일쑤였다 일수였다' 중 올바른 맞춤법 표현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일수 일쑤 뜻,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결론적으로 '일쑤였다'가 맞습니다.

- 그는 툭하면 지각하기 일쑤였다. 

 

'흔히 또는 으레 그러는 일'이라는 뜻의 명사는 '일쑤'로 '일쑤'라고 써야 맞는 표현입니다. '일수'는 동음이의어로 매우 뜻이 많은 단어인데요. 

 

우리가 흔히 일수꾼이라고 할 때 '일수'는 본전에 이자를 합하여 일정한 액수를 날마다 거두어들이는 일을 뜻하기도 하고, 날의 수, 나날이 여윔 등 다양한 뜻이 존재하며 현재 시점으로는 11개의 표제어가 있는 동음이의어입니다. 

 

 

2.  일쑤 뜻

 

「명사」

흔히 또는 으레 그러는 일.

 

「부사」

드물지 아니하게 흔히.

 

 

< 일쑤 예문 >

 

「명사」

- 내 단짝 친구는 수업 시간에 딴짓하다가 걸려 벌을 받기 일쑤였다. 

- 나는 택시만 타면 멀미하기 일쑤이다. 

 

- 대학교 때는 시험 기간에 밤을 새우기 일쑤였지만 지금은 미리미리 공부한다. 

- 성공한 사람은 말 한마디도 우상화되기 일쑤이다. 

 

 

- 한 번 책을 잡았다 하면 밤새우기가 일쑤였다.

- 남편은 직장을 때려치우기 일쑤였다.

 

 

「부사」

- 몸이 약해서 코피를 일쑤 코피를 쏟았다. 

- 큰애는 일쑤 지각을 한다. 

- 정책은 정권이 바뀌면 일쑤 바뀌는 게 일이다.

 

 

 

3.  일수의 여러 가지 뜻

 

① 일수 (一手)

혼자의 몫. 또는 혼자의 힘.

 

② 일수 (一水)

한 하천.

 

③ 일수 (一數)

일을 풀어 나가는 데 제일 좋은 방법

 

④ 일수 (日收)

하루 동안의 수입.

 

⑤ 일수 (日數)

날의 수.

 

⑥ 일수 (溢水)

물이 넘침.

 

TIP.  알아두면 좋은 상식

낙천적 낙관적 차이

 

마무리

오늘은 일상에서 종종 헷갈리는 '일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쉽게 '흔하게 일어나는 일'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