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그 기업은 이번에 인적 쇄신을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쇄신이란 표현은 일상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인적쇄신 등 쇄신 뜻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쇄신이란?

'그릇된 것이나 묵은 것을 버리고 새롭게 함'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 쇄신 한자 >

쇄신은 한자어로, 쇄신(新)의 한자는 각각 刷(인쇄할 쇄), 新(새로울 신)을 씁니다. 

 

잘못된 것이나 너무 오래된 관행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도입하고 시도할 때 '쇄신'이란 표현을 쓸 수 있습니다. 더 쉽게 말하면 우리에게 더 익숙한 표현으로 '혁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쇄신 쓰임새 

 

쇄신은 다양한 경우에 쓸 수 있습니다. 

 

(예) 이미지 쇄신 

정치인이나 연예인은 이미지로 먹고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그런데 어떤 잘못을 저질렀거나 국민의 지탄을 받을 때 자주 나오는 표현 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당의 이미지 쇄신'으로 많이 사용되는데요. 

 

당이 잘못된 것을 버리고 새롭게 거듭나겠다 이런 의미입니다. 

 

 

(예) 인적쇄신

이것도 이제 감이 오시리라 생각합니다. 인사 문제에 있어서 물갈이를 하든지 사람을 바꾸겠다는 의미지요. 기존에 있던 멤버들이 능력이 없거나, 비리가 있어서 그들을 내보내고 새로운 사람을 자리에 앉히겠다는 것입니다. 

 

 

(예) 경영쇄신

비슷한 의미입니다. 경영에서의 문제점을 고치고 새로운 방안을 도입하는 등 기존과 다른 새로운 것을 도입해서 현재보다 나은 상태로 이끌어가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는 것이지요. 

 

 

 

3.  쇄신 예문

 

- 이사는 다니고 싶은 회사로 만들기 위해 회사의 분위기 쇄신을 하기로 했다.  

 

- 새로운 사장은 회사의 매출 회복을 위해서 인사 쇄신을 단행하였다. 

 

- 정부는 새로운 쇄신안을 발표했지만 국민들은 그다지 믿는 눈치가 아니었다. 

 

- 공공 부문의 인적 쇄신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4.  쇄신 유의어 

 

① 혁신 (革新)

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 따위를 완전히 바꾸어서 새롭게 함.

 

② 유신 (維新)

낡은 제도를 고쳐 새롭게 함. 

 

③ 정신 (鼎新)

낡은 것을 새로이 고침. 

 

 

마무리

오늘은 일상에서 이미지, 분위기, 인적, 경영 등과 함께 사용되는 '쇄신'이란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쉽게 뭔가 더 나은 방향으로 가기 위해 새롭게 한다는 의미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