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상에서 종종 '부합하다'라나 표현을 종종 사용하곤 하는데요. 정확히 부합은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부합하다 뜻과 부합의 반대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합하다? 

부합하다란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부신(符信)이 꼭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다.'라고 뜻이 나와 있습니다. 

 

< 부합의 한자 >

부합(符合)은 각각 符(부신 부), 合(합할 합)을 쓰는데요.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부신을 합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부신은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참고] 부신 (符信)

여기서 부신은 나뭇조각이나 두꺼운 종이에 글자 같은 것을 써서 도장을 찍은 뒤에, 두 조각으로 쪼개서 서로 나눠 갖는 것입니다.

 

지금도 계약한 사람과 서로 나눠 가질 계약서를 가운데에 놓고 도장을 찍은 후에 나눠 갖지요. 그게 부신이라는 개념입니다. 

 

 

2.  부합하다 예시 

 

(예) 그는 현재 그 당의 쇄신 아주 부합하는 인물이었다. 

-> 그 사람이 어떤 상황에 꼭 맞는 사람이란 의미입니다.

 

(예) 목격자의 진술을 검토했을 때 범죄 피해 사실 부합하는 진술이었다.

-> 목격자가 어떤 말을 했는데 그 말이 범죄 피해 사실과 딱 들어맞는 진술이었단 의미입니다. 

 

 

* ~에, ~과 부합하다

 

보시는 것처럼쉽게 부합하다는 서로 꼭 들어맞는다는 의미로, 

~에, ~과 부합하다의 형태로 자주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부합하다 반대말 

- 없습니다. 

 

사전적으로 부합하다와 완벽하게 반대되는 말이 존재하지 않고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반대말은 나오질 않습니다. 

 

반대말을 찾기보다는 그냥 '부합하다'를 부정형으로 써서,

'부합하지 않다' 정도로 사용하면 적절해 보입니다. 

 

 

 

만약 굳이 꼭 뽑자고 한다면 저는 개인적으로 '괴리되다'라는 표현을 꼽고 싶습니다. 

 

< 괴리되다 >

서로 어그러져 동떨어지다.

 

(예) 그의 의견은 현실과는 너무나 괴리된 것이었다. 

 

 

4.  부합하다 예문 

 

- 그 정치인은 민주주의에 부합하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 현실과 이상이 부합하지 않으니 괴로울 수밖에 없다.

 

- 기독교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 언행을 삼가주시길 바랍니다. 

 

- 우리나라는 법감정과 부합하지 않는 판결로 인해 국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 개인과 국가의 이익이 서로 부합하다. 

 

- 공동의 이익에 부합하는 정책을 들고 나온 후보에게 한 표를 행사하겠다. 

 

 

마무리

오늘은 부합하다란 무엇인지 부합의 뜻에 관해 간단히 살펴보았는데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