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은 일상에서 종종 사용되는 당위성이란 무엇인지 당위성 뜻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당위성

마땅히 그렇게 하거나 되어야 할 성질.

 

< 당위성 한자 >

당위성(當爲性)의 한자는 각각 當(마땅할 당), 爲(할 위), 性(성품 성)을 씁니다. 한자를 직역하면 마땅히 그렇게 되어야 하거나 해야 하는 성질을 의미하지요. 

 

이렇게만 설명해드리면 이해가 잘 안 가실 것 같아서 당위성은 어떤 의미인지 아래에서 예를 들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당위성 예시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가 망가지고 있다는 기사나 방송 등의 매스컴을 통해 자주 접해볼 수 있습니다. 지구가 거의 반으로 나뉘어서 한쪽은 지나치게 습해지고 한쪽은 건조해지고 있는 게 상당히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식량 안보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서 약한 편으로, 자급자곡할 수 있는 주요 작물이 거의 없지요. 가장 기본적으로 밀을 미친 듯이 수입하고 있고요.

 

우리나라의 최대 밀 수입국은 미국으로 밀 전체 수입의 거의 80%이상을 수입해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올해 미국의 밀 농사는 흉년이라고 하지요. 작년에도 밀 농사가 좋지 않았던 미국은 올해 역시 지나친 가뭄으로 인해 역대급 흉년으로 점쳐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너무 많은 식량들을 타국에 의존하여 식량 안보가 상당히 위태위태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식량 안보를 강화해야 하는 당위성이 있습니다. 

 

* 식량이 하나의 무기가 되어 위협 수단이 되는 순간 식량 안보가 매우 약한 대한민국은 최약체 국가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식량 안보를 지금부터라도 신경 써야 하는 것이지요. 마땅히 그렇게 되어야 하거나 해야 하는 것을 당위성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당위성은 사람마다 다르게 여길 수 있습니다. 마땅히 그래야 하는 것이라며 누군가는 주장의 당위성을 주장하지만, 사람의 의견은 다르고 그에 대해 반대할 수도 있지요. 

 

 

3.  당위성 예문 


- 그는 시위에 당위성을 못 느끼겠다며 불참했다. 

 

- 21세기에 다른 나라를 침략하는 전쟁이 당위성을 인정받기에는 한계가 있다. 

 

- 법안 개정에 대한 당위성을 호소했으나 많은 당원들에게 외면당했다. 

 

- 우리나라 우주 개발 진출을 위해 인재를 키워야 하는 당위성이 있다. 

 

- 우리에게는 우리 선조들의 억울함을 풀어야만 하는 역사적 당위성이 있습니다. 

 

- 모두가 유행하는 것을 쫓아가지만 나 또한 쫓아가야 한다는 당위성은 없지 않습니까?

 

 

마무리

오늘은 마땅히 해야 한다는 의미의 당위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