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블로그나 글 혹은 이미지로 이루어진 콘텐츠를 접할 때 종종 제목에 스압이나 스압주의라고 쓰인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정확히 스압이나 스압주의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스압 뜻 스압주의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스압이란?

크롤 박의 줄임말입니다. 글의 내용이 매우 길어지면 인터넷 웹브라우저는 스크롤이 자동적으로 생기게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글을 많이 적어서 글의 내용이 매우 길어지는 경우에 작성자가 미리 해당 글의 내용이 매우 길다는 것을 알리는 것입니다. 

 

< 스압주의 >

스압주의란 긴 글 읽는 것을 부담스러워하거나 싫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경고성으로 '주의'라는 표현을 더하여 스크롤 압박이 있는 긴 글이므로 주의를 요함 정도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지요. 

 

 

 

* 상황에 따라서 긴 설명이 필요한 글을 찾는 유저의 경우에는

오히려 '스압'이란 표현이 도움이 되기도 할 것입니다. 

 

 

2.  스압주의 배경

 

트위터나 인스타그램 등 SNS의 글들은 그리 길지 않습니다. 그리고 요즘 세대들은 궁금한 것이 생기면 유튜브 검색을 이용하기도 하며 긴 내용에 대해서 '세 줄 요약'으로 정리해달라는 댓글들도 보이지요. 저는 여전히 문서를 보는 게 편한 세대인데요.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아주 어린 시절 초등학생 때부터 손에 쥐어 주게 되면서 짧은 텍스트를 읽는 것에도 뭔가 거부감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정보의 바다에서 정말 과거랑은 다르게 지식을 찾고 얻는 일이 매우 쉬워졌으나 어린 시절부터 모바일에 노출되면서 긴 텍스트를 읽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래서 최근에 뉴스 채널들도 텍스트가 많은 글 대신에 좌우로 넘길 수 있도록 짧게 카드 뉴스를 제작하여 8장 정도를 배포하기도 합니다. 

 

 

3.  파생어 

 

< 약스압 >

약간 스크롤 압박이 있음을 알리는 표현으로 나름 내용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을 암시함.

 

 

 

4.  스압 예문 예시

 

 

(예) 상세한 후기 (스압주의)

 

(예) 새로 들여온 내돈내산 캠핑 용품 후기 (스압)

 

* 이런 식으로 '스압' 혹은 '스압주의'라는 문구를 표기하여 내용이 상당히 길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상세한 후기나 자료가 보고 싶은 사람들은 오히려 도움이 되겠지요. 

 

 

 

마무리

오늘은 인터넷 신조어 스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블로그나 커뮤니티의 글 제목을 보면 바로 저게 뭐구나 이해가 되시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