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뜻
종종 뉴스 기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라는 표현을 들어볼 수 있는데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해당 표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유의미란?
의미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유의미는 한자어로 한자는 각각 有(있을 유), 意(뜻 의), 味(맛 미)인데요. 즉 의미가 있다는 게 유의미하다는 것이지요.
어떤 실험이나 사건의 결과값이 나름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2.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의미는?
그래서 이 말의 의미는 '단순한 우연이라고 보기에는 수치상의 의미가 있다'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동전 던지기를 하여 앞면이 나올 확률은 어떻게 되나요? 1/2이지요. 그리고 동전의 뒷면에 나올 확률 또한 1/2입니다.
10번 했을 때 동전 뒷면이 나왔다면 누군가는 '아, 그냥 우연이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1000번을 했을 때 900번 뒷면이 나오면? 이상한 촉이 발동되지요. 야, 여기에 뭔가 있다 이런 느낌이 들고요.
아주 쉽게 말해서 어떤 사건이 완전히 우연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고, 나름 결과값의 의미가 있을 때 바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또는 유의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앞에 통계라는 말이 붙는데 실제로 어느 정도의 수치를 의미할까요?
실험 횟수를 무한대로 할 때 어떤 상황에서 어떤 값이 95% 이상 나오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우연히 발생했을 가능성이 5% 미만인 것이지요.
3. 예문
- 금리 상승으로 인해 전월세 거래량이 폭등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데이터가 나오고 있다.
- R&D 투자는 고용을 늘리는데 단기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미미하다.
- 제약회사 A는 신약 개발 임상 결과 암 발생 확률을 낮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거두었다.
- 거래량을 분석해보니 통계적으로 의미한 결과를 뽑아내었다.
-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마무리
오늘은 뉴스 기사에서 종종 보이는 통계적으로 의미하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쉽게 우연이 아니라, 어떤 값들이 관련성을 보일 때 사용되는 표현이며 통계학적으로는 우연히 발생했을 가능성이 5% 미만인 경우 사용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