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협하다 뜻
일상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표현 가운데 '편협하다'라는 게 있는데요. 오늘은 편협하다 뜻, 그리고 한자 반대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편협하다 뜻?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으면 2가지의 의미가 나옵니다.
① 한쪽으로 치우쳐 도량이 좁고 너그럽지 못하다.
② 땅 따위가 좁다.
보통 사람을 향해 편협하다고 하는 것은 '너그럽지 못하다'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사고가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2. 편협 한자
편협의 한자는 2가지로 쓸 수 있는데요.
偏 (치우칠 편), 狹 (좁을 협)
또는
褊 (좁을 편), 狹 (좁을 협)
좁거나 치우치다는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서 편협하다를 쓸 수 있을까요?
3. 예시
1) 음악 취향
a라는 친구는 아이돌 음악만 듣습니다. 클래식은 별로고 최고의 음악은 아이돌 걸그룹 음악이라고 생각을 하지요.
취향이 한쪽으로 꽤 치우쳐 있지요.
이런 경우에 '편협한 음악 취향'이 있다고 쓸 수 있습니다.
2) 사고방식
요즘 우리나라는 혐오가 재생산되고 눈 뜨고 일어나면 새로운 혐오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을 매우 싫어합니다.
b라는 사람이 아무리 싫어도 때론 맞는 말을 할 수 있거든요.
그런데 b가 말을 했다는 이유로 그냥 b가 말한 사상 모두가 싫어지는 겁니다.
이게 편협한 사고방식인 겁니다.
이 또한 뭔가 한 쪽으로 치우친 느낌이지요.
3) 음식 취향
채식주의자는 아니고 고기는 무조건 닭고기만 먹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두루두루 먹는 사람 입장에서는 꽤 한쪽으로 치우친 식단으로 보일 겁니다.
두루두루 먹는 사람은 그런 사람을 보면서 '참 취향이 편협하네'라고 생각할 수 있지요.
4. 편협하다 반대말
① 관대하다
마음이 너그럽고 크다.
② 너그럽다
마음이 넓고 아량이 있다.
마무리
오늘은 여러분께서 평소에 궁금해하셨던 편협하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나이를 먹으니까 어렸을 때와 비교하여 많이 편협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친한 친구들을 살펴보면 저와 비슷한 사람들이라고나 할까요? 오히려 다양성이 줄어들고 끼리끼리 놀게 되는 것 같네요. 나이가 먹으면 아량이나 도량이 넓어질 거라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반대가 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