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암'은 자주 들어봐서 바로 와닿는데 '제자리암' 이란 무엇일까요? 오늘은 제자리암이란 무슨 뜻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제자리암이란? 

암세포가 기저막은 침윤하지 못하고 자기가 발생한 상피층 내에 머물러 있는 시기의 암입니다. 

 

이렇게만 설명드리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게 때문에 암세포가 상피층에서 어떻게 시작되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몸을 살펴보면 피부 표면에 있는 피부들이 있지요. 이것도 하나의 상피(上皮)라고 하고요. 우리 피부 말고도 간과 같은 장기 등도 그것을 덮고 있는 세포층이 있습니다. 보통 그것을 상피라고 하고 구성하는 세포를 상피세포라고 합니다. 

 

암이 처음부터 내장기관을 침투하지 않을 거 아녜요?

 

그러니 처음에는 이렇게 상피층에서 암이 머물러 있습니다. 다른 데로 이동하지 않고 파고들지도 않고 그냥 그 상태로 있는 것을 상피 안에 있다고 하여 '상피내암'이라고 부르며,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그곳에 있으니 '제자리암'이라고도 부르는 겁니다. 

 

결론적으로 제자리암, 상피내암은 동일한 말입니다. 

 

그리고 0기암으로도 불립니다. 

 

 

 

 

2.  제자리암 발생 부위 

2020년에 발표한 2018년 국가암등록통계의 따르면 성별에 따라 아래처럼 상피내암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 남자>

대장 (48.5%)

방광 (18.7%)

위 (16.6%)

기타 (16.2%)

 

< 여자 >

자궁경부 (46%)

유방 (24.8%)

대장 (14.3%)

위 (3.6%)

방광 (2%)

기타 (9.4%)

 

 

 

3.  제자리암 증상? 

0기 암이기 때문에 별다른 증상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으로 하는 국가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젊을수록 건강검진을 게을리하지 않는 게 중요하고요.

 

제 주변에는 나이가 젊은 20대에 암이 발병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한 명은 유방암이었고 다른 한 명은 갑상선암이었지요.

 

젊다고 해서 건강을 자신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4.  상피내암 완치? 

간단히 절제가 가능해서 대부분이 완치가 됩니다. 

 

 

5.  제자리암 상피내암 분류코드 

상피내암의 경우에는 D코드로 분류되어 D00부터 D09까지가 이에 해당됩니다. 

 

 

 

마무리

오늘은 일상에서 건강검진을 하거나 그럴 때 어쩌다 접할 수 있는 상피내암(제자리암)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았는데요. 젊을 때 건강을 자만하지 말고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으면 도움이 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