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역사 시간에 배우는 것 중에 강화도 조약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가 어쩔 수 없이 맺은 불평등 조약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오늘은 강화도 조약이 불평등 조약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화도 조약이 불평등 조약인 이유는? 

 

 

1.  19세기의 국제사회 분위기 

우선 당시의 국제사회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시에는 제국주의가 만연하던 시기로 강대국이 힘만 있으면 무력으로라도 약소국을 쳐들어 가고 있었습니다. 

 

일본은 우리에게 무력으로 다가오기 전에 이미 미국에 의해 크게 한 방 맞은 상태였습니다. 1854년에 미국에 의해 일본은 항복하고 메이지 유신이라는 것을 겪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미국처럼 무력으로 근처에 있는 우리나라를 슬금슬금 다가오게 되지요. 

 

 

 

2.  운요호 사건 

우리나라를 어떻게든 해보고 싶은데, 전쟁이든 전투든 늘 중요한 것은 명분입니다. 먼저 때리기에는 국제사회의 많은 눈들이 있고 자기네들이 생각하기에도 뭔가 면이 안 서는 상황이었죠.

 

그래서 일부러 상황을 만듭니다. 

 

일본이 운요호라는 근대식 군함을 갖고 부산에 침투를 시킵니다. 부산은 당연히 조선의 영토였고 그 근해 앞바다는 조선의 영해였지요. 

 

그래서 통역을 할 수 있는 역관이었던 현석운이라는 사람이 일본의 왜관에게 찾아서 왜 여기에 있는 거냐고 묻습니다. 

 

일본은 조선과 일본의 수교가 왜 이리 늦어지는 것인가에 대해 묻고 싶어서 왔다고 하면서 일부러 자신들의 군함을 마구 뽐냅니다. 

 

그리고 나서 운요호는 갑자기 연안을 측량한다면서 부산에서 동해, 남해, 그리고 서해까지 거슬러올라와 강화도에 도착하게 되지요. 

 

도착해서는 강화도 초지진으로 소형 보트를 타고 접근합니다. 외국인 멋대로 여기저기 다니니까 그걸 보고 우리나라 군은 뭘 했을까요? 당연히 공격을 했겠죠.

 

그리고 이때다 싶은 일본군은 우리와 전투를 벌이고 당시 미국으로부터 쓴맛을 보고 열심히 무장했던 일본은, 현재로 따지면 영종도에 살고 있던 사람들을 죽이고 불까지 지르고 떠나버립니다. 

 

여기서 끝나면 다행이었을까요? 

 

그리고 또 슬금슬금 나타나서 운요호 사건에 대해 우리나라에 책임을 전가하며 '수교'를 맺자고 강요합니다.

 

 

 

3.  강화도 조약 내용

 

바로 이것이 우리나라가 1876년 2월에 일본과 맺은 불평등 조약, 강화도 조약인 것이지요. 

 

강화도 조약의 정싱 명칭은 '조일수호조규'라고 합니다. 줄여서 강화조약, 병자수호조약으로도 불립니다.

 

강화도 조약은 12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선은 자주의 나라로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제1조)

양국은 15개월 뒤에 수시로 사신을 파견하여 교제 사무를 협의한다 (제2조)

조선은 부산 이외에 두 항구를 20개월 이내에 개항하여 통상을 해야 한다(제5조)

조선은 연안 항해의 안전을 위해 일본 항해자로 하여금 해안 측량을 허용한다(제7조)

개항장에서 일어난 양국인 사이의 범죄 사건은 속인주의에 입각하여 자국의 법에 의하여 처리한다(제10조)

양국 상인의 편의를 꾀하기 위해 추후 통상 장정을 체결한다(제11조)

 

 

쉽게 요약하면, 일본은 마음대로 다른 나라의 연안을 측량하는 권리를 얻어갔고요. 

 

가장 어이가 없는 부분이 바로 개항장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이 범죄로 휘말리게 되는 경우에 치외법권을 인정하여 일본의 법에 의해서 심판한다는 겁니다.

 

영사재판권을 인정하여 일본인이 나쁜 짓을 저질러도 얼마든지 자기네들 법에 의해서 솜방망이 처벌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강화도 조약은 체결하게 된 과정도 무력으로 인한 체결이므로 평등하지 않았으며, 체결된 내용 역시 일본의 야욕을 충족시키기 위한 침략의 발판 정도로 조선을 이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강화도 조약이 왜 불평등 조약인지 체결된 과정과 그 내용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국제정세가 돌아가는 것을 보면서 부국강병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약한 나라의 설움을 겪은 대한민국이 앞으로 더 부국강병 하면 좋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