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상에서 종종 당돌하다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당돌하다의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당돌하다 뜻

사전에서 찾으면 2가지의 의미가 나오는데요. 

 

① 꺼리거나 어려워하는 마음이 조금도 없이 올차고 다부지다.
② 윗사람에게 대하는 것이 버릇이 없고 주제넘다.

 

보시는 것처럼 긍정과 부정의 의미가 모두 있습니다. 주눅 들거나 상대를 어려워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우 당찬 모습을 보일 때 사용하기도 하고, 윗사람에게 버릇없이 굴 때 당돌하다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그러니 듣는 사람에 따라서는 부정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으므로 사용하는데 약간 주의가 필요한 어휘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2.  당돌하다 예시 

 

1) 당찬 사람에게

30대 후반에 아직 시집을 안 간 여자 과장이 있었습니다. 그 팀에 20대 후반 신입 남직원이 들어왔지요. 거의 10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여자 과장을 신입사원이 매우 어려워할 법했지요. 

 

첫 회식 자리에서 신입사원이 자신이 건배사를 해도 되겠냐며 아주 꺼리거나 어려워하는 기색도 없이 말하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걸 보고 과장이 말합니다. 

 

'지훈 씨 아주 당돌한 구석이 있구나.'

 

 

2) 버릇없는 사람에게 

수업 시간이었습니다. 영수가 철수랑 장난을 치고 있었지요. 그러다가 선생님께 딱 걸립니다. 

 

'거기 장난친 녀석 앞으로 나와.'

 

철수는 앞으로 나갔지만 영수는 끝까지 버티고 있었습니다. 

 

'야, 너 거기 안 나오고 뭐 해.'

 

'제가 장난 안 쳤는데요?'

 

'뭐라고?'

 

'제가 장난친 거 선생님이 보셨어요? 증거 있어요?'

 

이런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아주 당돌하고 무례하게 구는 모습이 선생님은 화가 나서 교실을 나가버렸습니다. 

 

 

 

3.  예문 

 

① 꺼리거나 어려워하는 마음이 조금도 없이 올차고 다부지다.

- 당돌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 중학생이 단편 영화를 제작하는 당돌한 시도를 하였다.

 

- 나이가 어린데 아주 당돌한 구석이 있다. 

- 신입 당돌한 눈빛이 나는 마음에 들어.

 

 

② 윗사람에게 대하는 것이 버릇이 없고 주제넘다.

- 철수는 선배들에게 당돌한 태도로 인해 수업 끝나고 불려갔다.

- 영수는 선생님이 말씀하시는데 당돌하게 대들었다.

 

- 당돌한 태도로 지적을 받았다.

- 당돌하게 대들다. 

 

 

 

마무리

오늘은 당돌하다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그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