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과 뜻
아주 가끔 뉴스 기사에서 역과사고가 발생했다는 말을 종종 볼 수가 있는데요. 우리 생활에서 역과사고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역과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역과 뜻
우선 표준어를 관장하고 있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역과를 찾으면 아래와 같은 사전적 의미만 덜렁 나옵니다.
그런데 우리가 원하는 것은 이런 의미가 아니지요.
교통사고 관련한 단어를 찾고 싶은 겁니다.
그렇다면 역과사고할 때의 역과는 어떤 의미일까요?
2. 역과사고 뜻
역과(轢過) 사고라고 할 때의 역과는 한자로 轢(수레에칠 역), 過(지날 과)로,
'밟고 지나간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인데, 사람이나 물건을 밟고 지나가는 사고를 뜻합니다.
실제로는 물건보다는 사람을 밟고 지나가는 사고에 더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대충 역과사고라는 말을 들으시면 사람을 차가 밟고 지나가는 사고가 발생했구나 생각하시면 되는 거죠.
주로 사망 사고로 많이 이어지기 때문에 운전자 입장에서 매우 주의를 해야 합니다.
3. 관건은 운전자 주의의무
해당 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운전자가 주의의무를 게을리했는가 아닌가 입니다.
물론 그것의 유무를 판단하여 업무상과실치사나 업무상과실치상의 혐의에 대해서 유무죄를 판단하는 것은 판사의 몫이겠지만요.
갑자기 튀어나오는 사람들도 있고, 운전하다 보면 가로등도 제대로 없는 곳에서 대자로 뻗어서 만취상태로 숙면을 취하는 사람도 있으니 모든 사고를 주의한다고 해서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도 언제나 방어운전을 하여서 최대한 사건에 휘말리지 않도록 노력해야겠지요.
마무리
오늘은 교통사고에서 매우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역과사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역과란 뭔가를 밟고 지나간다는 의미로 주로 사람을 밟고 지나가는 사고에 자주 사용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