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를 구하느라 사람인, 잡코리아 등에서 채용 공고를 보다 보면 중식제공이란 표현을 볼 수가 있습니다. 중식제공은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중식제공 뜻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중식제공?
한 마디로 '점심'을 제공한다는 의미입니다.
중식 제공 = 점심 제공
제공의 형태는 뭐 구내식당이 있어서 식권을 줄 수도 있고요. 팀장급에게 법카를 줄 수도 있고요.
2. 중식 뜻
점심에 끼니로 먹는 밥을 가리킵니다.
< 중식의 한자 >
한자는 각각 中(가운데 중), 食(먹을 식)으로 하루 중에서 가운데 시간 즈음에 먹는 식사를 가리키는 것이지요.
3. 중식 제공이 논란이 된 이유
우리가 일본 음식을 '일식'이라고 하고, 한국 전통 식사를 '한식'이라고 하지요. 그리고 짜장면, 짬뽕과 같은 중국음식을 '중식'이라고 합니다.
네, 바로 그 중식과 헷갈린 것입니다.
본래 뜻
중식제공 = 점심 제공
오해한 뜻
중식제공 = 짜장면 짬뽕 등과 같은 중국음식 제공
그러면 쉬운 우리말 '점심'으로 표현하면 되는 거 아니냐고 하실 수도 있는데요.
4. 점심도 한자어
點(점찍을 점), 心(마음 심)
흥미롭게도 점심 역시 한자어입니다. 한국어 중에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지요. 점심 역시 한자어였습니다.
아침 - 우리말
점심 - 한자어
저녁 - 우리말
참고로 아침과 저녁은 순우리말입니다.
아까 중식은 점심밥을 가리키는 표현이라고 했지요. '식'으로 끝나는 아침밥과 저녁밥은 뭐라고 할까요?
5. 조식, 석식 뜻
① 조식(早食)
아침 끼니로 먹는 밥.
② 석식(夕食)
저녁에 끼니로 먹는 밥.
마무리
오늘은 나날이 갈수록 떨어지는 문해력으로 인해서 오해받고 있는 단어 중식제공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쉽게 점심밥 제공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