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공휴일 법정휴일 차이
5월 1일은 법정공휴일일까?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법정공휴일이 아니며, 법정휴일인데요. 오늘은 법정공휴일과 법정휴일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법정공휴일 법정휴일의 차이점
① 법정공휴일(法定公休日)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의해 공휴일이 지정된 날을 말합니다. 소위 우리가 달력에서 '빨간날'을 찾는데요. 이 날이 바로 법정공휴일입니다. 원래는 관공서의 공휴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② 반면에 법정휴일은
달력에 '빨간날'로 표시되지는 않지만, 근로기준법에 적용을 받는 근로자들이 쉬는 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주5일을 일하는데요. 토요일과 일요일 중에 보통 하루가 유급휴일이 되지요.
바로 이게 법정휴일이라는 겁니다.

2. 살펴보기
다시 정리해볼게요.
법정공휴일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의해 지정된 것이고, 법정휴일은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법정휴일은 우리가 주5일제로 일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때 주말 중 하루는 유급휴일을 받는 것이고요. 그게 바로 법정휴일이 됩니다.
그리고 추가로 하나 더 있는데요. 5월 1일 근로자의 날이 바로 법정휴일에 해당합니다.
법정공휴일
- 달력상 빨간날
법정휴일
- 주휴일 / 근로자의 날(5월 1일)
그러면 이제 대체공휴일이라는 것도 알아볼 필요가 있지요.

3. 대체공휴일
공휴일이 토요일, 일요일 주말에 겹치는 경우, 평일 중 하루를 대체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입니다. 이게 생긴 지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과거에는 이런 게 없었어요. 추석이나 설 연휴가 짧으면 짧은 대로 그냥 고향 다녀오는 것이었습니다. 너무 짧아지는 연휴 등을 정부에서 보완하는 차원에서 도입하는 것이고요.
직장인 입장에서는 너무 고맙지요. 추석이나 설날이 주말에 끼어 버리면 고향 다녀오느라 너무 힘들거든요...
마무리
오늘은 아주 간략하게 알아두면 좋을 만한 법정공휴일, 법정휴일, 대체공휴일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