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 신드롬
갈라파고스 제도는 에콰도르 근해의 태평양에 있는 화산섬입니다. 특징은 매우 고립된 환경에서 고유의 생태계를 형성했다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일상에서 가끔 들어볼 수 있는 갈라파고스 신드롬 내지는 갈라파고스화되었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갈라파고스화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갈라파고스 신드롬
갈라파고스섬이 고립된 채로 그 자체 내에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에서 착안된 것인데요. 자신만의 고유한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것이 어떻게 보면 긍정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이것은 조금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곤 합니다.
핵심은 '고립되었다'라는 것이지요.
세계적인 기술력 등을 보유하여 만들었지만 국내 시장만을 생각한 표준을 만들어서 실제로는 고립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2. 갈라파고스 신드롬의 유래
주로 일본 휴대폰을 갖고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요. 원래 가전제품하면 '일본' made Japan을 으뜸으로 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엄청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었는데요. 문제는 내수를 중심으로 상품을 만들어온 결과 세계 정상의 자리에서 내려오게 된 것이지요.

이것에 대해서 일본 게이오 대학의 교수였던 나쓰노 다케시 교수가 일본의 현상을 설명하면서 갈라파고스 증후군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표현인데요. 종종 뉴스 기사에서 '갈라파고스화' 이런 식의 문장을 많이 볼 수가 있습니다.
3. 갈라파고스화 무슨 뜻
갈라파고스 제도 섬처럼 '고립되어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예) z국가의 b산업이 갈라파고스화되고 있다.
이런 문장이 있다고 하면요. 아, 점차 고립되어서 경쟁력을 잃어가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구나 하시면 됩니다.
4. 예시
① 중국 콘텐츠
콘텐츠가 조금 부실하지요. 저도 의천도룡기 이런거 많이 봤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그걸 우려먹고 있어요. 중국 내수만 보았을 때 이런 콘텐츠를 찍어내는 것은 이해를 합니다.
하지만 국제적으로는 큰 호응을 얻기가 어렵다는 것이지요. 조금 과감한 장르에 도전하여 세계적인 경쟁력을 키울 필요가 있는데 자꾸 저런 류의 콘텐츠 생산으로 갈라파고스화가 되고 있는 겁니다.
② 일본 아이돌
이것도 조금 비슷한 것 같습니다. 일본 아이돌은 일본 내에서만 인기가 있습니다. 거의 그렇죠. 조금 세계화를 노리는 것을 해볼만한데 그것에 조금 실패한 느낌이 듭니다. 거의 내수용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다양한 시도를 해서 해외 진출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고 실제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아이돌이 매우 많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갈라파고스화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고립되어서 경쟁력을 잃는다 정도로 정리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