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상에서 뭔가 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무산되었을 때에 사용하는 표현 중에 '나가리'라는 게 있습니다. 나가리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나가리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나가리 뜻 유래

우리말로는 '무산되다' '허사가 되다'라는 뜻인데요. 나가리란 본래 일본어 '무효'라는 뜻의 '나가레(ながれ)'에서 온 말입니다. 

 

< 유래 >

 

 

 

일반적으로 나가리는 화투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인데요. 화투에서 아무도 3점을 내지 못하거나 무승부로 끝난 경우에 이를 나가리라고 불렀고요. 

 

이것이 실생활에서는 '무산되다'라는 뜻으로 '나가리되다'라는 말을 쓰게 된 것입니다. 

 

 

2. 나가리되다 뜻

그러므로 '나가리 되다'라는 것은 '무효가 되다', '허사가 되다' 이런 의미입니다. 그럼 예시를 들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예시 >

 

사전청약이라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본청약 이전에 사전청약이라는 것을 둔 것인데요. 얼마전 운정의 gtx 초역세권 사전청약 사업 단지가 취소가 되는 일이 생기면서 당첨자들에게 날벼락이 떨어졌습니다. 

 

당연히 본청약과 입주날짜만을 기다리던 당첨자들의 내 집 마련 꿈이 완전히 '나가리'가 된 것입니다.

 

즉, 이렇게 무산되거나 어떠한 일이 허사가 될 때 사용하는 게 나가리인데요.

 

 

 

사전청약 전격 취소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이, 당첨자들을 지금 매우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사전청약이라는 제도가 이렇게 제대로 보호해주지 못할 거면 다른 입주공고에도 청약을 넣을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할 것 같은데요.

 

그동안 입주할 날 만을 기다리가다가 다른 아파트는 아파트대로 청약도 못하고 기회를 날렸으니 얼마나 화가 날까 싶습니다. 

 

 

3. 예문

- 아 완전히 나가리 되었네. 

 

- 이러면 완전히 나가리야. 

 

- 그 후보는 선거판에서 나대더니 나가리 되었더라. 

 

- 이러면 완전 나가린데. 

 

 

4. 순화어 

무산되다 

 

 

마무리

오늘은 일상에서 '무산되다'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일본어의 잔재 나가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실생활에서 나가리보다는 우리말 '무산되다'로 바꿔서 사용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