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춤 맞춤 [맞춤법]
결혼식 때 남자는 보통 정장을 맞추는데요. 이때 마춤정장이 맞을까요? 아니면 '맞춤정장'이 맞을까요? 오늘은 마춤 맞춤 중에서 올바른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마춤이란?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아래처럼 나옵니다.
맞춤 (O)
마춤 (X)
이렇게 '화살표'로 표기한 것은 왼쪽은 비표준어이고, 오른쪽이 표준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따라서 '마춤'은 틀린 말이고 '맞춤'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그렇다면 '맞춤'은 무슨 뜻일까요?

2. 맞춤 뜻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임.
(예) 퍼즐 맞춤 시간
퍼즐을 맞추다라는 것을 떠올려보세요.
일정한 규격으로 물건을 만들도록 미리 주문하여 만듦.
(예) 맞춤 양복
미리 주문해서 어떤 사이즈로 할지 양복을 맞추잖아요? 그래서 맞춤 양복인 것입니다.
- 맞춤 양복 (O)
- 마춤 양복 (X)
이때 주의해야 하는 사항은 '맞춤 양복'으로 띄어쓰기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 단어가 아니라 각각의 단어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3. 안성맞춤과 안성맞춤 중 바른 표현은?
- 정답은 '안성맞춤'입니다.
안성맞춤은 요구하거나 생각한 대로 잘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경기도 안성에다가 유기를 주문해서 만드는 것처럼 잘 맞는다는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
4. 맞춤형
요구나 취향, 필요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형식.
'맞춤'에서 더 확장된 표현으로 '맞춤형'이라는 말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마춤형(X)'이 아니라 '맞춤형'으로 '맞춤형 일자리/ 가구' 등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