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연차가 상당히 궁금합니다. 내가 몇년 일해야 연차가 몇개 발생하는지가 매우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근로기준법의 연차 발생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연차휴가란 

5인 이상의 사업장에 다니는 근로자가 1년에 80% 이상 출근을 하면 그 다음해에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여기서 잘 모르셨던 부분이 5인 이상의 사업장이라는 부분일 겁니다. 5인 미만의 사업장은 연차휴가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사업자의 재량에 따르게 되므로 예를 들어 우리 회사에 사장을 포함해 전체 일하는 사람이 4인 밖에 없다면 연차휴가 의무발생 대상이 아닙니다. 



2.  연차휴가 1년에 몇개씩 늘어날까? 

연차는 1년 이상 근무하게 되면 15일이 발생하며 최대 25일까지 늘어납니다. 

늘어나는 기준은 만 3년 이상 근무한 경우에 1개 더 늘어난 연차 16개가 되고 2년에 한번씩 추가로 1개 더 늘어납니다. 

예를 들어 2017년 1월에 입사를 했다면 현재 2020년까지 계속근로 하고 있으며, 앞으로 쭉 근로한다면 아래처럼 발생하게 됩니다.


- 2018년 : 15개 (입사한지 만1년 경과)

- 2019년 : 15개 (입사한지 만2년 경과) 

- 2020년 : 16개 (입사한지 만3년 경과)

- 2021년 : 16개 

그러면 2년에 한번씩 추가로 1개 더 늘어나니까 

- 2022년 : 17개

- 2023년 : 17개 

- 2024년 : 18개 

- 2025년 : 18

- 2026년 : 19 

- 2037년 : 24

- 2038년 : 25

연차는 최대 25개까지 발생하므로 2038년 이후부터는 계속 근로 해도 현행법상으로는 25개를 넘을 수가 없습니다. 





연차 관련해서 도움이 되는 글은 제 블로그에서 연차를 검색하면 1년 미만 근로자인 경우 

프리랜서인 경우 등 관련된 정보가 나오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