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뉴스 기사에서 기망행위라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로 기망과 기만은 비슷한 뉘앙스로 느껴지는데요.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늘은 기망 기만 뜻 차이점과 기망행위를 예시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1.  기망 기만 뜻 차이는 뭘까?

기망과 기만 모두 '남을 속여 넘김'이라는 뜻입니다. 실제로 사전을 한 번 찾아보겠습니다. 

 

아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기망'을 찾은 것인데요. 동의어로 '기만'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뜻은 동일하고 한자에는 차이가 있는데요. 

 

 

 

 

 

2.  한자의 차이

 

기만 : 欺(속일 기) 瞞(속일 만)

기망 : 欺(속일 기) 罔(그물 망) 

 

 

3.  실생활에서는?

기만과 기망은 사전적으로 동일한 뜻을 지니고 있지만, 실생활에서는 조금 다릅니다. 

 

< 기망행위 뜻 >

 

기망은 주로 '법률용어'로 사용되어, '기망행위'라는 용어가 존재합니다. 기망행위는 보통 사기죄의 요건으로 나오는데요. 피해자에게 착오를 일으키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기는 결국 금전과 관련된 것이지요. 남을 속여서 돈을 받고 돌려주지 않는 것입니다. 기망행위라는 것은 적극적으로 남을 속이기 위해서 거짓말을 하거나 중요한 사실을 일부러 이야기하지 않는 경우 기망행위로 봅니다. 

 

 

< 보험 >

 

 

 

대표적인 예시로 보험관련 사기가 있는데요. 여러분이 a라는 보험을 가입하기 위해서는 b라는 질병이 없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미 b라는 질병이 있는 것을 본인이 병원에서 진단받았고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험사에 이를 알리지 않은 것이지요. 

 

그리고 보험사에 보험금 지급을 청구하는 겁니다. 정말 중요한 사실이고 고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알리지 않고 돈을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러니 이게 기망행위가 되는 것입니다. 

 

 

4.  요약정리

기만과 기망 모두 속인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기망은 사기죄의 성립 요건으로 법률용어로 널리 사용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한자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으니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