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성씨라면, 김이박 씨일 것입니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일텐데요. 오늘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항 성씨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장 많은 성씨?
예상하신 대로 김씨가 가장 많습니다. 김씨는 2015년 통계기준으로 21.5%로 가장 많은 성씨는 김씨입니다.
우리나라는 5년에 한번씩 인구주택총조사를 합니다. 2020년 현재 인구주택총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11월 1일부터 11월 18일까지는 조사원 방문조사기간입니다. 아직 2020년 통계는 집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기서는 5년 전 통계인 2015년 통계를 갖고 인구별 성씨 순위를 살펴봅니다.
2. 우리나라의 50%이상은?
- 김씨(1위),이씨,박씨,최씨,정씨를 합치면 약 53.7%로 우리나라 인구의 50%를 넘습니다. 5위까지의 성씨가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50%는 다른 성씨가 차지하는 셈입니다.
1위 : 김씨 (21.5%)
2위 : 이씨 (14.7%)
3위 : 박씨 (8.4%)
4위 : 최씨 (4.7%)
5위 : 정씨 (4.3%)
3. 6위~10위
5위안에 들지는 못했지만 6위에서 10위는 강씨, 조씨, 윤씨, 장씨, 임씨가 차지했습니다.
각 성씨별 퍼센트는 강씨 (2.4%), 조씨 (2.1%), 윤씨 (2.1%), 장씨 (2.1%), 임씨 (1.7%)입니다. 그리고 6~10위를 합치면 대략 10%가 되겠네요.
그러면 1~10위까지가 우리나라 인구의 약 64%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통계청 2015년,「인구총조사」 TOP15
4. 11위~15위
11위에서 15위는 한씨(1.6%), 오씨(1.5%), 서씨(1.5%), 신씨(1.5%), 권씨(1.4%)가 차지했습니다. 11위~15위를 합치면 7~8%정도입니다.
5. 우리나라에서 연대별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
① 1940년대 - 영수
② 1950년대 - 영수
③ 1960년대 - 영수
④ 1970년대 - 정훈
⑤ 1980년대 - 지훈
⑥ 1990년대 - 지훈
⑦ 2000년대 - 민준
⑧ 2010년대 - 민준
⑨ 2020년대 - 도윤
6. 우리나라에서 연대별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
① 1940년대 - 영자
② 1950년대 - 영숙
③ 1960년대 - 미숙
④ 1970년대 - 은주
⑤ 1980년대 - 지혜
⑥ 1990년대 - 유진
⑦ 2000년대 - 유진
⑧ 2010년대 - 서연
⑨ 2020년대 - 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