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그 친구는 완전 [ 숙맥 / 쑥맥 ]이야. 여기서 '숙맥'이 맞을까요? 아니면 '쑥맥'이 맞을까요?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잘못 쓰고 있는 숙맥 쑥맥 중 표준어와 숙맥불변 유래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결론적으로 '숙맥'이 맞습니다.

- 그 친구는 완전 숙맥(O)이야.

- 그 친구는 완전 쑥맥(X)이야.

 

쑥맥(X)은 숙맥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우리가 흔히 세상 물정 모르는 사람을 일컬을 때 사용하는 단어 '숙맥'은 '숙맥불변'에서 유래한 단어로 '숙맥(O)'이라고 해야 올바른 단어입니다. 

 

< 숙맥 뜻 >

숙맥의 품사는 명사로, 뜻은 2가지가 있습니다. 

① 콩과 보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②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사람 (<- 숙맥불변에서 유래함)

 

 

된소리 발음이 난다고 생각하여 쑥맥(X)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실제로 숙맥의 발음은 [숭맥]입니다. 된소리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 숙맥 한자 >

숙맥(菽麥)의 한자는 菽(콩 숙), 麥(보리 맥)입니다. 한자 그대로 직역하면 콩과 보리로, 앞서 살펴본 ①번의 뜻이지요. 그렇다면 '숙맥'은 어떻게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을까요? 

 

 

2.  숙맥불변 유래 

옛 중국 춘추시대의 진(晉)나라가 있었습니다. 진나라의 도공이라는 사람이 있었고, '도공'에게는 매우 멍청한 형이 있었습니다. 도공은 형을 왕위에 앉히기 위해 노력하였지요. 

 

그러던 어느 날은 도공은 형에게 콩을 꺼내 콩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줍니다.

한참을 설명하고 있는데 형이 말합니다. 

'아, 그건 보리가 아닌가?'

 

답답한 동생은 형이 멍청하다는 것을 알고 화를 내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보리를 들고 보리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번에는 동생을 보고 이렇게 말합니다. 

'그건 콩이 아닌가?'

 

동생은 수차례 반복하여 설명하고 이제는 형이 콩과 보리를 구별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다음날 동생은 형에게 콩을 가져다 달라고 부탁합니다. 

 

그러나 형은 보리를 가져다 줍니다.

 

결국 형을 왕으로 앉힐 수 없었던 신하들은 동생 도공을 왕으로 올렸지요. 숙맥불변은 바로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무식했던 진나라 도공의 형에게서 유래한 고사성어입니다.

 

숙맥불변의 출전은 <춘추좌씨전> 「성공」입니다. 

 

 

참고로 도공의 형처럼 매우 무식한 사람을 일컫는 우리 속담 중에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해당 속담이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3.  숙맥불변 한자 

숙맥불변(菽麥不辨)의 한자는 각각 菽(콩 숙), 麥(보리 맥), 不(아니 불), 辨(분별할 변)을 씁니다. 한자 그대로 직역하면 콩, 보리를 분별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 숙맥불변 뜻 >

즉, 숙맥불변이란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입니다. 줄여서 '숙맥'이라고도 부른다는 점 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