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모양처라고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이 바로 신사임당인데요. 신사임당은 율곡 이이의 어머니로 5만 원권에도 올라간 인물입니다. 그렇다면 정확히 현모양처의 뜻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현모양처 뜻, 유래 및 현모양처 반대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현모양처 뜻

현모양처란 어진 어머니이면서 착한 아내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현모양처 한자

현모양처(賢母良妻)의 한자는 賢(어질 현), 母(어머니 모), 良(어질 양), 妻(아내 처)를 씁니다. 한자 그대로 직역하면 어진 어머니에 어진 아내라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어진 어머니면서 착한 아내, 어진 아내라는 뜻의 현모양처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2.  현모양처 유래 

왠지 매우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의 전통적 여성상 내지는 문화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현모양처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때는 1906년입니다. 과거 조선시대만 해도 여성은 교육을 받을 수 없었지요.

 

실제로 여성에게 강조되던 것은 가부장적인 문화가 심했던 조선에서는 '열녀효부'입니다. 열녀는 남편에 대한 절개가 굳은 여자를, 효부는 시부모를 잘 섬기는 며느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조선            1905

열녀효부 -> 현모양처

 

개화기가 되면서 여성 역시 교육받을 수 있게 되는데요. 이때 여성은 어떤 교육을 시켜야 하는가 고민이 되었을 겁니다. 그러면서 나온 게 바로 현모양처라는 것입니다. 도입 초기에는 근대적 여성교육의 수혜를 받은 신여성 이미지가 강했다고 하지요.

 

 

그러나 1930년 이후부터는 우리가 알고 있는 가정에 힘쓰는 여성으로 변모하게 됩니다.

 

그 이미지가 쭉 오면서 신사임당이 덧붙여지고 

 

[ 현모양처 = 신사임당 ]

 

이런 공식이 성립하게 된 것이지요. 

 

 

3.  현모양처의 요즘 이미지

요즘에는 현모양처를 지향하는 사람들을 보면 가정에 충실하고 싶다는 정도의 의미가 들어 있는 것 같습니다. 과거처럼 그렇게 무겁고 진지한 의미의 현모양처보다는 일과 가정 사이에서 가정에 더 무게를 두거나 가정에 더 가치를 두는 정도의 의미로 변한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현모양처라는 이미지를 싫어하는 여성분들이 많았는데요. 실제로 여성이기 때문에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했던 사람들이 있었고 뭔가 가족에 희생하면서 자신의 꿈은 접히는 그런 이미지가 있어서 현모양처를 싫어하는 분들이 있었지만

 

요즘에는 정말 많은 여성들이 일을 하고 있으니 라떼파파 같은 정도의 의미가 아닐까 싶네요.

 

일하는 여성 + 현모양처가 되고 싶다 -> 가정에 충실하고 싶다

일하는 남성 + 라떼파파가 되고 싶다 -> 가정에 충실하고 싶다  

 

TIP. 라떼파파란?

커피를 손에 들고 유모차를 끌고 다니는 육아에 적극적인 아빠를 뜻하는 어휘로 남녀의 공동 육아 문화가 자리 잡은 스웨덴에서 유래.

 

 

 

4.  현모양처 예문 

- 우리 엄마는 소문난 현모양처다.

 

- 친구는 현모양처가 이상형이다. 

 

- 현모양처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신사임당이 있다. 

 

- 외할머니는 마을에서 현모양처로 소문이 자자했다고 한다.

 

- 나는 남편과 아이들을 집에서 보살피는 현모양처가 꿈이야.

 

- 현모양처인 엄마를 만나서 아빠가 달라지셨다고 한다. 

 

 

4.  현모양처 반대말

- 악처 

 

현모양처의 반대말로는 '악처'를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악처'는 마음이 바르지 못하고 행실이나 성질이 악독한 아내를 뜻하는 말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현모양처 뜻과 유래, 현모양처 반대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