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는 시험관을 하느라 이번에 난자를 [ 체취 / 채취 ] 했다. 여기서 '체취'가 맞을까요? 아니면 '채취'가 맞을까요? 오늘은 체취 채취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체취 채취 차이점 >
1. 결론적으로 난자를 '채취'하는 게 맞습니다.
- 그녀는 시험관을 하느라 난자를 채취했다.
난자를 채취 (O) / 난자를 체취 (X)
'연구나 조사에 필요한 것을 찾거나 받아서 얻는다'는 의미의 단어는 '채취'가 맞습니다. 쉽게 '찾아서 얻는다'의 의미가 채취이고요.
(예) 골수 채취
(예) 세포 채취
(예) 지문 채취
이렇게 뭔가를 찾아서 얻거나 그 외에도 자연에서 나는 풀이나 나무, 광석을 캐는 것도 채취라는 단어를 씁니다.
< 채취의 한자 >
채취(採取)의 한자는 採(캘 채), 取(취할 취)를 씁니다. 쉽게 캐서 얻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ㅔ'가 들어간 '체취'는 무슨 뜻일까요?
2. 체취 뜻
우리가 흔히 몸을 '신체'라고 합니다. 여기서 한자 '체'는 體(몸 체)로 신체를 나타내지요. 그렇다면 이제 추론이 가능하실 텐데요.
체취란 한자 몸 체를 써서 몸에서 나는 냄새를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완전히 ㅐ와 ㅔ의 차이일 뿐인데 뜻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 체취 (體臭) >
몸에서 나는 냄새.
< 채취 (採取) >
연구나 조사에 필요한 것을 찾거나 받아서 얻음.
3. 체취 예문
① 몸에서 나는 냄새.
- 얼마나 안 씻었는지 체취가 고약했다.
- 땀에 쉰 체취가 코를 쑤신다.
- 땀에 젖은 운동복에는 축구 선수들의 체취가 남아 있었다.
- 나는 체취가 심해서 향수를 뿌린다.
- 체취를 맡다.
② 어떤 개인이나 작품에서 풍겨 나오는 특유의 느낌.
- 그의 그림에는 한국적인 체취가 강하다.
- 농촌에는 사람 사는 체취가 물씬 풍긴다.
- 학자적인 체취가 잘 느껴지는 글이었다.
4. 채취 뜻 예문
① 풀, 나무, 광석 따위를 찾아 베거나 캐거나 하여 얻어 냄.
- 여기는 허가 받지 않은 사람들의 어패류 무단 채취를 금지하고 있다.
- 금이 채취가 가능하다는 말에 세계 각국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 김, 미역을 채취하여 자급자족하고 있다.
② 연구나 조사에 필요한 것을 찾거나 받아서 얻음.
- 범죄 현장에 남은 지문 채취는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 교수님은 민요 채취를 위해 전남 구례를 다녀오셨다.
- 채취한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 정액 채취.
- 화석 채취.
TIP. 알아두면 좋은 상식
마무리
오늘은 채취, 체취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신체의 '체'를 연상시키면서 몸에서 나는 냄새는 '체취'라고 하고 뭔가를 찾아서 얻어내는 행위는 'ㅐ'를 써서 '채취'라고 한다는 점을 기억하여 구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