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며느리와 시어머니의 갈등을 일컬어 고부 갈등이라고 하여, 그것을 소재로 다룬 드라마나 영화들이 있는데요. 과연 우리나라의 속담은 시어머니를 어떻게 그리고 있을까요? 오늘은 시어머니와 관련된 속담 15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어머니 속담

1.  쓰니 시어머니

흔히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못살게 굶을 이르는 말.

 

2.  세 끼 굶은 시어머니 상판 같다

보기 흉할 정도로 몹시 찌푸린 얼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

겉으로는 위하여 주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해하고 헐뜯는 사람이 더 밉다는 말.

 

 

 

4.  저녁 굶은 시어미 상

저녁을 주지 아니하여 굶은 탓으로 얼굴을 잔뜩 찌푸리고 며느리를 쳐다보는 시어머니의 얼굴 모양이라는 뜻으로, 아주 못마땅하여 얼굴을 잔뜩 찌푸리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안방에 가면 시어머니 말이 옳고 부엌에 가면 며느리 말이 옳다

양편의 말이 모두 일리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가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며느리 늙어 시어미 된다

과거에 남의 아래에서 겪던 고생은 생각지도 않고 도리어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대함을 비꼬는 말.

 

7.  시어머니가 오래 살자니까 며느리가 방아 동티에 죽는 걸 본다

사람이 오래 살게 되면 망측한 꼴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시어미가 오래 살다가 며느리 환갑날 국수 양푼에 빠져 죽는다

① 사람이 너무 오래 살게 되면 못 할 일을 하게 됨.

② 사람이 모질어서 남에게 못 할 짓 하는 것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9.  시어미가 죽으면 안방은 내 차지

시어머니가 죽으면 며느리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는 뜻으로, 권력을 잡았던 사람이 없어지면 그다음 자리에 있던 사람이 권력을 잡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시어미 미워서 개 옆구리 찬다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이르는 말.

 

11. 시어미 범 안 잡은 사람이 없다

시어머니 치고 젊었을 때에 고생 안 했다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일은 제대로 잘하지도 못하면서 자기 자랑만 늘어놓음.

 

12. 시어미 속옷이나 며느리 속옷이나

모두 한집안 식구의 것이라는 뜻으로, 구태여 내 것 네 것 가릴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시어미 부를 노래를 며느리가 먼저 부른다

자기가 하려고 하는 말이나 마땅히 할 말을 도리어 남이 할 때, 또는 꾸짖음이나 나무람을 들어야 할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 시어머니 죽으라고 축수했더니 보리방아 물 부어 놓고 생각난다

시어머니가 죽기를 빌다가 막상 죽고 나니 힘든 보리방아를 찧을 때면 일을 도와주시던 시어머니 생각이 난다는 뜻으로, 힘든 일에 부닥치면 그전에 밉게 보이던 사람도 아쉽게 생각되는 때가 있음을 뜻함.

 

15. 죽은 시어미도 방아 찧을 때는 생각난다

미운 사람도 제게 아쉬운 일이 생겼을 때는 생각난다는 말.

 

TIP.  알아두면 좋은 상식

며느리 속담 47가지

 

마무리

오늘은 시어머니에 관한 우리나라 속담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며느리와 관련된 속담도 함께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