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무신론자들에게는 진실이라는 게 매우 중요하지만, 종교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진리라는 것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진리란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진리의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진리란? 

사전적으로 '참된 이치. 또는 참된 도리.'를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그 외에도 철학적으로 명제가 사실에 정확하게 들어맞음. 또는 논리의 법칙에 모순되지 아니하는 바른 판단이나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승인할 수 있는 보편적인 법칙이나 사실을 의미하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 진리의 한자 >

진리(眞理) 한자는 각각 眞(참 진), 理(이치 리)를 씁니다. 

 

참된 이치라고 하면 뭔가 크게 와닿지 않으실 텐데요. 진리라는 것은 쉽게 변하지 않는 참된 이치라고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은데요. 더 자세한 것은 아래에서 예를 들어 알아보겠습니다. 

 

 

 

2.  철학적 명제로서의 진리 

 

(예) 뉴욕은 미국의 대도시이다. 

 

맞는 말이지요. 이렇게 어떤 명제가 참인 경우에도 진리라는 표현을 씁니다. 

 

'내 친구는 과자를 좋아한다' 이것은 철학적 명제로서의 가치가 없습니다. 보통 사소한 이런 것들을 진리라고 쓰지는 않고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어떤 명제를 진리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명제를 갖고 '진리'라고 하는 경우가 많기에 이는 종교와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뉴욕

 

 

3.  종교적 진리

진리라는 표현을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게 종교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종교 중에 하나가 기독교지요. 기독교는 성서의 구약과 신약에 있어서 구약에서 약속한 메시아가 예수님이라고 믿는 종교입니다. 

 

실제로 예수님은 실존 인물입니다. 예수님의 실존에 대해서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에서 이견이 없습니다. 다 인정하는 사실인데요. 

 

여기서 하나 더 나아가 기독교는 '예수님께서 죽은 지 사흘 만에 부활했다'라고 하는 말에 진리가 있다고 믿습니다. 기독교 신자가 아닌 사람들은 당연히 안 믿겠지요? 

 

하지만 기독교인들에게는 저 명제는 목숨을 내놓을 수 있을 정도의 진리입니다. 그리고 이런 진리를 제대로 알아야 세상을 정확히 바라볼 수 있다고 생각하지요. 

 

TIP.  '느'와 '나' 무슨 차이가 있을까?

하느님과 하나님의 차이 바로알기

 

 

4.  진리는 대학교 교훈에 많이 볼 수 있다!

진리는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절대적인 참된 이치를 말한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진리'라는 표현이 학문을 하는 대학교 교훈으로 상당히 많이 사용됩니다. 

 

연세대 교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서울대 

진리는 나의 빛

 

TIP.  알아두면 좋은 상식

서울에 있는 인서울 대학교 교훈 21가지!

 

 

마무리

오늘은 진리란 무엇인가 간단히 알아보았는데요. 철학적으로 참인 명제를 가리키기도 하고 종교에서 상당히 중요시하는 신념과 결부된 하나의 절대적인 명제를 가리키기도 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